1. JSP 태그
Servlet은 JAVA언어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고, 출력객체를 이용하여 HTML코드를 삽입한다. (Controller)
JSP는 반대로 HTML코드에 JAVA언어를 삽입하여 동적 문서를 만든다. 이 때 태그를 이용하여 삽입한다. (View)

- 지시자 : import 등에 사용
- HTML주석은 브라우저의 소스보기에서 보이지만, JSP는 서버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소스보기에서 주석이 보이지 않는다
- 표현식 : 변수명 등을 넣으면 결과값이 출력됨. ; (세미콜론)을 쓰지 않음
2. JSP 동작 원리
1. 클라이언트가 웹브라우저로 helloWorld.jsp 파일을 요청
2. JSP 컨테이너가 JSP 파일을 Servlet(*.java) 파일로 변환
3. Servlet(*.java) 파일은 클래스 파일(*.class)로 변환됨
4. 요청한 클라이언트에게 HTML파일 형태로 응답

한 번 생성된 Servlet 파일은 동일한 요청이 다시 들어올 때 재활용하기 때문에 JSP도 Servlet 처럼 다른 CGI 언어들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다
3. JSP 내부 객체
- 내부 객체 : 개발자가 직접 생성할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
- JSP 컨테이너에 의해 Servlet으로 변환될 때 자동으로 생성됨

'강의 정리 > JSP & Servlet (Seoul Wiz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. JSP (3) (0) | 2019.08.05 |
---|---|
10. JSP (2) (0) | 2019.08.05 |
8. Servlet (4) (0) | 2019.08.03 |
7. Servlet (3) (0) | 2019.08.03 |
6. Servlet (2) (0) | 2019.08.03 |